알림소식

홍보영상

💡 2025년 R&D(기술개발) 지원, 이렇게 바뀝니다! | 머니포차 특별편 EP 05

동영상 방송날짜 및 SNS 공유, 동영상 내려받기를 나타냅니다.

제목 :💡 2025년 R&D(기술개발) 지원, 이렇게 바뀝니다! | 머니포차 특별편 EP 05

방송날짜 :2025.02.28 00:00

방송날짜 2025.02.28 00:00 퍼가기 파일받기 내려받기
방송날짜 2025.02.28 00:00
퍼가기

2025 소통맛집 머니포차 -특별편-

유인석 사무관 : 안녕하세요. 2025년 놓치면 아까운 중소기업 지원 정책에 대해서 알아보고 있습니다. 오늘은 중소기업 R&D 지원 사업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담당자분 인사 부탁드립니다.

이종우 사무관 : 네 안녕하십니까. 중소벤처기업부 기술개발과 이종우입니다. 오늘은 2025년 중소기업 기술개발 지원사업에 대해서 상세히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유인석 사무관 : 사무관님 제가 최근에 뉴스를 보니까 2025년도부터는 하늘을 나는 택시가 뭐 상용화될 거다 이런 기사가 있더라고요. 그런 기사 보셨나요?
이종우 사무관 : 예 저도 이제 최근에 CES 시작해서 말씀하신 그런 하늘을 나는 택시 같은 부분들은 관심 있게 지켜보고 있습니다.
이런 부분들이 실제로 상용화되려면 연구 개발부터 시장 진출 등 여러 부분에서 상당한 자금 지원이 많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유인석 사무관 : 맞습니다. R&D 할 때 중소기업들한테 이제 많이 부담이 될 텐데, 그래서 저희 정부의 지원이 굉장히 중요할 것 같은데요. 그만큼 지금이 참 중요한 시간인 것 같습니다.
이종우 사무관 : 예 그렇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2025년 중소기업 R&D 지원 사업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자세히 말씀드리겠습니다.

유인석 사무관 : 네. 그러면 2025년도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지원하고 있는 R&D 지원 정책의 방향성 간단히 설명 부탁드립니다.
이종우 사무관 : 예, 올해 정부가 총 1조 5,214억 규모의 중소기업 기술개발 지원 사업을 발표를 했고, 올해 R&D 지원 사업은 크게 시장에 도전하는 혁신적인 R&D, R&D 생태계를 혁신하는 네트워크형 R&D, 그리고 재정 투입을 효율화한 R&D 이렇게 세 가지 분야로 추진됩니다.

유인석 사무관 : 네, 굉장히 폭넓은 지원인 것 같은데요. 중점을 둔 중점 분야가 있을까요?
이종우 사무관 : 우선 올해에는 12대 국가 전략 기술과 탄소 중립 기술 같은 그런 전략 분야에 예산을 집중 투입할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서 중소기업 기술혁신 개발 사업의 경우에는 전체 예산의 50% 이상을, 그리고 창업 성장 기술개발 사업의 경우에는 40% 이상을 전략 기술 분야에 배정을 할 계획입니다.

유인석 사무관 : 네, 그럼 중소기업들한테 굉장히 큰 기회가 될 것 같은데, 작년 대비해서 올해 달라진 점들은 어떤 게 있을까요?
이종우 사무관 : 작년에 중소벤처 R&D 미래 전략 라운드테이블을 통해서 민간 전문가들의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반영해서 여러 가지 프로그램들을 신설했습니다.
대표적으로 인증 실증달성형 R&D, 글로벌 협력형 R&D, 공동효과형 R&D, 기술이전 사업화 R&D 이런 사업들이 그런 프로그램들입니다.
이걸 통해서 중소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어 나가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하고자 합니다.

유인석 사무관 : 네, 아까 혁신형 R&D 말씀하셨는데, 혁신적인 R&D에 대해서 먼저 설명 부탁드릴게요.
이종우 사무관 : 12대 국가 전략 기술 분야와 탄소중립 기술 등 전략적인 기술 개발에 저희가 집중하겠다고 말씀을 드렸습니다.
이걸 통해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사업화해서 글로벌로 진출해 나가는 것을 지원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예를 들어서 AI 기반 스마트 제조 기술이라든가, 아니면 친환경 소재 개발 같은 그런 프로젝트에 집중적으로 저희는 지원할 계획입니다.

유인석 사무관 : 네, 도전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기업들한테 굉장히 큰 도움이 되겠네요.
이종우 사무관 : 네, 그리고 더해서 중소기업이 직접 제시한 그런 인증 목표를 객관적으로 검증해서 지원을 하는 인증 실증형 R&D도 올해 새롭게 선보일 예정입니다.

유인석 사무관 : 네, 두 번째로 네트워크형 R&D 말씀하셨는데, 국내의 협업 프로그램도 많이 신설되었다 들었습니다.
이종우 사무관 : 네, 우선 외국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서 기술 교류를 촉진하고, 이를 통해서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둔 글로벌 협력형 R&D를 올해 신설합니다.

유인석 사무관 : 네, 그러면 글로벌 협력 외에도 주목할 만한 프로그램들이 있을까요?
이종우 사무관 : 네, 더해서 중소기업이 기술 개발부터 시장 보급까지 한 번에 원스톱으로 지원할 수 있는 공동 효과형 R&D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건 수요 기업에게 필요한 맞춤형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유인석 사무관 : 네, 그럼 기술 이전도 굉장히 중요한 부분인데요. 이 부분은 어떻게 지원되나요?
이종우 사무관 : 예, 기술이전 사업화 R&D가 바로 말씀하신 그런 지원 프로그램입니다.
테크브릿지 플랫폼으로 이전받은 국가 전략 분야 기술에 대해서 저희가 상용화할 수 있도록 자금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유인석 사무관 : 네, 그러면 중소기업들은 연구에서 단순히 그치는 게 아니라, 시장까지 진출하는 데 사업화에 큰 도움이 되겠네요.
이종우 사무관 : 예, 그래서 앞에서 말씀드렸던 사업들을 합하여 올해 386억 원을 투입해서 중소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유인석 사무관 : 네, 아까 말씀하실 때 세 번째 재정투입 효율화 R&D도 말씀하셨는데요. 이 부분도 설명 부탁드릴게요.
이종우 사무관 : 네, 우선 중소기업이 보다 효율적으로 연구 과제를 기획하고 추진할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산학연 콜라보 R&D 안에서 중소기업과 대학과 연구기관이 컨소시엄을 구성해서 여러 개의 과제를 수행하는 트랙을 신설하고,
그리고 지역별로 R&D 역량강화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고 이런 부분들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유인석 사무관 : 네, 그럼 정부와 민간이 협업하는 그런 프로그램도 있을까요?
이종우 사무관 : 예, 맞습니다. 전략기술 테마별 프로젝트나 기술보증 연계 R&D 지원 사업처럼 정부의 출연과 민간의 투자 또는 융자를 연계한 프로그램들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개선해 나갈 계획입니다.

유인석 사무관 : 네, 그럼 정부와 민간 투자가 연계돼서 더 많은 기업들한테 혜택이 가겠네요.
이종우 사무관 : 예, 뿐만 아니라 이런 민간 연계 지원 사업으로 개발된 기술들은 더욱더 신속하게 시장에 진출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유인석 사무관 : 네, 지금 하신 말씀 들어보니까 기업들의 연구부터 사업화까지 체계적으로 잘 지원이 될 것 같습니다.
이종우 사무관 : 네, 그래서 이런 지원 사업들을 통해서 중소기업들이 기술 개발뿐만 아니라, 시장에서도 성공적인 결과를 만들어내고 성장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유인석 사무관 : 네, 말씀해주신 사업들이 각기 각기 좀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더 많은 기업들한테 체계적인 성장을 잘 지원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IVWorks (주)아이브이웍스
중기부의 '투자연계형 R&D와 '투자형 R&D' 지원을 받은 (주)아이브이웍스 ]

송영진 이사 (주)아이브이웍스
저희 (주)아이브이웍스는 화합물 반도체 소재를 제조하는 회사입니다.
그래서 질화갈륨이라고 불리는 Gan 반도체 소재를 만들고 있습니다.
중기부의 스케일업 TIPS 지원사업으로 투자연계형 R&D, 투자형 R&D 이제 두 가지 지원사업을 동시에 받았었습니다.
새로운 제품에 대한 수요가 있었고, 그 수요를 대응하기 위해서 선제적으로 기술 개발을 해야 되는 상황이었는데,
그와 관련된 연구개발 과제로 실질적인 기술 개발을 성공적으로 완료했고, 이로 인해서 실질적인 사업까지 지금 진행이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유인석 사무관 : 그러면 이런 R&D 사업에 참여하려면 어떻게 해야 되나요?
이종우 사무관 : 중소벤처기업부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 범부처 통합 연구지원시스템에서 통합 공고가 이미 올라간 상태이고,
여기에서 후속 세부 사업별로 공고를 확인하신 후에 온라인으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유인석 사무관 : R&D 지원 정책 방향, 주요 주목할 정책들 말씀해 주셨는데 마지막으로 R&D 참여를 준비하시는 기업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리겠습니다.
이종우 사무관 : 네, 혁신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여러분들의 아이디어가 세상을 바꿀 것이라 믿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그런 여러분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입니다. 중소기업 R&D 지원 사업, 이제 바로 도전하시길 부탁드립니다.

유인석 사무관 : 네, 오늘은 2025년 놓치면 아까운 중소기업 정책 R&D 정책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벤처기업 여러분의 도전과 성공에 함께하겠습니다.

이상으로 영상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인증·실증달성형 R&D
기업의 기술 검증과 실증을 강화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
글로벌 협력형 R&D
해외 연구기관과 협업해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
공동효과형 R&D
여러 기업이 협력해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원스톱 기술을 개발
기술이전·사업화 R&D
국가 전략기술을 이전받아 상용화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

01 시장에 도전하는 혁신적 R&D
12대 국가전략기술 및 탄소중립 등 전략적인 기술 개발에 집중
→ 새로운 시장 개척 사업화 글로벌 진출
‘인증·실증달성형 R&D’
시장 전문가·기술 전문가 중심으로
중소기업이 직접 제시한 목표에 대한 검증 강화

02 R&D 생태계를 혁신하는 네트워크 R&D
‘글로벌 협력형 R&D’
외국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 통해 과제를 기획하고 R&D 진행
글로벌 시장 진출의 발판 마련
‘공동효과형 R&D’
산업현장에 적용 가능한 기술 개발부터 시장 보급까지
원스톱으로 지원
맞춤형 기술 개발 및 적용
‘기술이전·사업화 R&D’
테크브릿지 플랫폼 통해 이전 받은
국가전략분야 기술의 상용화 자금 지원

03 재정투입을 효율화하는 R&D

중소기업 R&D 기획역량 보완
산학연 Collabo
중소기업이 다양한 대학·연구기관과 협업하여 R&D 역량을 제고할 수 있는
컨소시엄형 과제 트랙 신설
역량강화 교육
중소기업의 R&D 기획 역량을 제고할 수 있도록
지역별 R&D 기획 워크숍과 R&D 역량강화 교육 콘텐츠 제작 추진
컨설팅
신규 과제 신청기업이 민간 컨설팅 업체를 이용하는 실태를 주기적으로 파악하여
효과적인 R&D 기획 역량 제고 방안 마련
투자연계
민간 VC의 투자와 연계한 팁스 프로그램 내 창업기업의
글로벌화 및 전략분야 기술개발 지원 비중을 단계적으로 확대

비전
중소기업 기술혁신 생태계 구축

목표
글로벌 기술기업 육성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 및 성장동력 확보

추진전략 · 추진과제

추진전략 01
시장에 도전하는 혁신적 R&D
➊ 신규과제 전략성 강화
➋ 목표달성형 R&D로 전환
➌ 중소기업 R&D 기준다각 설정

추진전략 02
R&D 생태계를 혁신하는 네트워크 R&D]


📢 2025년, 혁신을 꿈꾸는 중소기업을 위한 필수 영상!
기술개발 지원을 원하는 기업이라면 주목하세요!
🚀 정부 지원금 총 1조 5,214억 원
📦 혁신적인 R&D 프로젝트, 스타트업부터 중소기업까지 지원 가능!
📺 영상으로 함께 만나보시죠!

ˋˏ💌┈┈┈┈┈┈┈┈┈┈┈┈┈
머니포차 특별편 - 5편(기술개발편) 이벤트!
여러분이 가장 관심 있는 R&D 지원 분야는?
💬 댓글로 "내가 관심 있는 R&D 분야는 OOO입니다!" 를 남겨주세요!
(예: "내가 관심 있는 R&D 분야는 친환경 기술입니다!" "AI 반도체 기술이 궁금해요!")

🎁 추첨을 통해 네이버포인트 2만원권을 선물로 드립니다! (~2/20 까지, 2/24 이후 발표)
📌✅ (완전중요) 댓글 작성 후 이벤트 참여 양식 작성 필수
https://naver.me/Gmb6E5Fi

#중소벤처기업부 #머니포차 #중소기업 #소상공인 #지원정책

담당자 정보

담당부서
디지털소통팀
전화번호
044-204-7099
챗봇 상담

반갑습니다!
1357콜센터 챗봇입니다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