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년도 | 2022 | 발행기관 | 중소기업연구원 | 저자 | 강재원·권재한 |
---|---|---|---|---|---|
조회 | 2128 | 등록일 | 2022-10-14 | ||
발행년도 | 2022 | 저자 | 강재원·권재한 | ||
발행기관 | 중소기업연구원 | ||||
등록일 | 2022-10-14 | 조회 | 2128 | ||
내용 |
[주요내용] ■ 청년세대가 체감하는 취업난과 그에 따른 경제적 고통이 심각한 수준으로 청년세대를 위한 다각적인 정책이 추진 중 •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취업난이 가중되었고, 취업을 포기하는 청년 니트족이 증가 • 이에 정부는 청년 일자리·주거·교육·자산형성 기회 제공을 확대하는 청년 맞춤형 지원 강화를 추진 ■ 본 고는 청년 창업 현황을 바탕으로 (예비) 청년 창업자의 실제 창업 및 성장을 돕기 위한 정책 방향을 수요자 관점에서 제시하고자 함 ■ 청년 창업은 시장 진입·퇴출이 쉬운 생계형에 편중되어 있으며, 금융 안정성과 서비스 접근성이 낮음 • 청년 창업은 폐업률이 높은 음식업, 대리·중개·도급업, 소매업의 비중이 높으며, 기술기반업종 창업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음 • 청년세대의 자산 대비 부채비율이 가장 높으며, 창업 시 자금확보에 대한 부담도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남 ■ 청년세대의 부족한 창업 준비 기간과 창업 교육 경험은 미흡한 경제적 성과로 귀결됨 • 29세 이하의 창업 준비 기간이 가장 짧았고, 창업 교육 경험도 부족함 • 대학 창업 강좌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이론·온라인 중심으로 이루어짐 • 학생 창업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실제 경제적 성과는 양적 성장 대비 미흡 ■ 본 고는 상기 청년 창업 현황 분석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청년 창업 정책 방향을 제시 • (준비된 창업 유도) 대학은 창업 인재 양성의 요람으로 창업 교육 역량 강화 필요 • (실패용인 문화조성) 나의 실패를 공유하고 남의 실패에서 배우는 문화, 실패를 비난하지 않는 문화, 실패해도 다시 일어날 수 있는 문화조성 • (창업경험 경력인정) 창업 리스크 축소를 위해 창업 경험을 경력으로 인정하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이 필요 • (청년정책 간 연계) 청년 창업 정책은 다부처 청년 정책과 연계되어 상호 보완적으로 추진 |
||||
첨부파일 |
|
담당자정보
담당부서정책총괄과
전화번호044-204-7423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